본문 바로가기
창업 기획 마케팅

2024 클라우드 바우처 1순위 선정 후기 및 팁

by 숭삼 2024. 4. 28.

클라우드 서비스?

웹 브라우저 혹은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의 앱or서비스
(ex. 노션, 구글 스프레드 시트 등)
쉽게 말하자면 내 컴퓨터의 저장장치가 아닌 서비스 제공회사의 서버에 저장되는 모든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장 · 단점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의 장, 단점 best만 꼽아보자면,
장점1 : 어느 환경에서든 서비스에 로그인만 하면 작업할 수 있다.
  →  USB나 외장하드 등을 안들고 다녀도 된다!
장점2 : 여러명이 동시에 실시간으로 함께 작업 할 수 있다.
 
  어라? 누가 xxx.ppt 편집중이신가요? 열어 두셨나요? 물어보지 않아도 된다.
장점3 : 별도의 업데이트 내역을 관리 하지 않아도 된다.
     서비스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누가 언제 편집했는지 기록이 남는다.

단점1 : 비용 (장점으로 극복 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이 불편해져야만 비용을 감당할 수 있다.)
단점2 : 모든 서비스가 이전은 친절하게 도와주지만 이관은 나몰라라 하는 편

관리를 쉽게 하고자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했지만,
직관적이지 않아 사용성이 불편하던지 혹은 사용자가 일머리가 없어서 쓸데 없이 일을 2번씩 하거나 해버리면
관리가 더 어려워져버리는 아이러니가 생긴다.

모종의 이유로 서비스가 자사에 적합하지 않음을 판단하여 다른 서비스로 이전을 하려고 하면,
[정보 내려받기] 기능을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는데 다른 서비스에 해당 정보를 옮기려고 할때는
이래저래 사양이 안맞아서 실패해버리던지, 내려 받는 데이터가 정말 하등 쓸모 없는 수준으로 내려받아져버린다.

최소한 테스크월드 는 그랬다.. 물론 돈만 많이 주면 쌉가능인데 중소에서 그런 서비스를 할리가?
직원 몇명 노가다 시키면 해결되는걸?
여러모로 한 번 선택하면 다른걸로 바꾸기가 매우 빡세지는 아이러니가 있으므로 검토를 빡세게! 하고 도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설명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사업 (바우처)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지만 SaaS 가 대두화 된 이후에 생긴 바우처 사업이다. (내가 창업할 때만 해도 없었다!)
회사에서 HR 및 성과평가 툴 도입을 위해 서치하다가 알게 되었다.

해당 사업에 대한 공식 사이트 :  https://www.cloudsup.or.kr/

 

2024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포털

(주) 비즈니스온커뮤니케이션 스마트빌 전자 세금계산서 500,000 원/년

www.cloudsup.or.kr

클라우드에 저장되는 모든 형태의 IT, SW를 정부지원금 80%를 받아서 사용 할 수 있다.
단 내가 원하는 브랜드가 입점(?) (정확히는 공급기업 Pool)이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1년에 1번 모집인지 2번 모집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내가 근무중인 회사에서는 선정이 되었다.
신청서는 R&D 지원 서류에 비하면 껌(?)이라 코파면서 적었다.

지원하면 대부분이 선정되었던 바우처 사업(과거 라떼에는 세무대행 바우처 사업이라는 것이 있었다. 지금도 있는지는 모르겠다.)인줄 알고 당연히 선정되겠거니 생각을 했었고 미리 몇 가지 바우처 서비스도 서치하고 데모 사이트를 체험해보며 장단점도 정리해두었다. (해당 내용은 다음 포스팅으로 다룰 예정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사업 선정 1순위

클라우드 바우처 1순위 선정 통지 이메일

예상했던대로 1순위 선정 공지 이메일을 받았었다.
다시 말해 웬만하면 지원했을 때 선정되는 사업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생각보다 탈락자(2순위 이하)가 많았나보다.
주변에 사업하시는 대표님들이나 스타트업 친구들이 4~5순위라고 하더라... 오잉?ㅋㅋㅋ 띠용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사업 선정 팁 (신청서 작성 팁)

블로그 첫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는 이유이다. 정보성 블로그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니까
내가 작성한 원본을 블로그에 공유하기는 어렵고.. 어떤 방향성으로 작성했는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계획서 원본

나는 모든 지원서류 (일반 지원, 인건비 지원, 연구지원 등)의 핵심은 스토리텔링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 회사인지?
그런데 지금 막히는 부분이 무엇인지?
그래서 뭐가 필요한지?
필요한 것이 해결되면 어떻게 발전 할 수 있을지?

위 4가지 질문에 주절주절이라도 좋으니 10~20줄 정도로 답변을 해보라.
해당 답변은 각각 아래와 같은 요소가 된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 회사인지? → 기업개요(기업소개)
그런데 지금 막히는 부분이 무엇인지? → 필요성
그래서 뭐가 필요한지? → 자금사용계획
필요한 것이 해결되면 어떻게 발전 할 수 있을지? → 기대효과(향후 계획)

위의 답변을 깔~끔하게 정리해두면 여기저기 여러모로 지원사업에서 응용하며 무한 재탕할 수 있다.
나의 경우 노션에 각각의 요소(위 4가지 말고도 더 있으나 크게는 4가지 부터 시작해보세요.)를 작성해두고 필요할 때 조금씩 편집해서 신청서에 녹이는 편이다.

실제 1순위에 선정된 신청서와 함께 각각의 요소 작성 방안 팁은 다음 포스팅으로....